종양표지자 검사는 혈액에서 특정 단백질이나 물질을 측정하여 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그러나 종양표지자 수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암이 있다는 의미는 아니며,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종양표지자의 개념과 함께, PSA(전립선특이항원, Prostate-Specific Antigen) 수치가 높아지는 원인과 그 의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종양표지자란?
종양표지자(Tumor Marker)란 암세포가 생성하거나, 몸이 암에 반응하면서 혈액 내에서 증가하는 특정 단백질 또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표지자는 암의 조기 발견, 치료 효과 모니터링, 재발 여부 평가 등에 활용됩니다.
하지만 종양표지자는 암을 확진하는 수단이 아니며, 다른 질환(염증, 양성 종양, 생리적 변화 등)에서도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 검사(초음파, CT, MRI) 및 조직 검사와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2. 종양표지자의 종류와 역할
병원에서 일반적으로 검사하는 주요 종양표지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AFP(Alpha-Fetoprotein, 알파태아단백) → 간암, 고환암, 난소암
- CEA(Carcinoembryonic Antigen, 암배아항원) → 대장암, 폐암, 위암 등
- CA 19-9(Carbohydrate Antigen 19-9, 탄수화물항원 19-9) → 췌장암, 담도암, 위암
- CA 125(Cancer Antigen 125, 암항원 125) → 난소암, 자궁내막암, 난관암
- PSA(Prostate-Specific Antigen, 전립선특이항원) → 전립선암,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이 중 PSA(전립선특이항원)는 전립선암과 전립선 질환을 진단하는 데 중요한 종양표지자로, 남성 건강을 평가하는 필수적인 검사 중 하나입니다.
3. PSA 수치의 정상 범위와 비정상 수치
PSA 수치는 혈액 검사로 확인할 수 있으며, 나이에 따라 정상 범위가 다를 수 있습니다.
- 40~49세 정상 수치: 0~2.5ng/mL
- 50~59세 정상 수치: 0~3.5ng/mL
- 60~69세 정상 수치: 0~4.5ng/mL
- 70세 이상 정상 수치: 0~6.5ng/mL
PSA가 4ng/mL 이상이면 비정상으로 간주되며,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 경미한 상승: 4~10ng/mL →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가능성
- 중등도 상승: 10~20ng/mL → 전립선암 의심, 정밀 검사 필요
- 20ng/mL 이상: 전립선암 가능성이 높음, 조직검사 권장
특히 PSA가 10ng/mL 이상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전립선암 가능성이 높아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4. PSA 수치가 올라가는 메커니즘
PSA는 전립선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정액의 유동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전립선 조직이 손상되거나, 전립선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면 혈액 내 PSA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PSA 수치가 상승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암세포에서 PSA 생성
- 전립선암이 발생하면 PSA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생성되어 혈액 내 수치가 증가합니다.
- 전립선 조직 손상으로 PSA 증가
-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등에서도 PSA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전립선 조직이 자극을 받거나 염증이 발생하면 PSA가 혈액으로 방출됩니다.
- 일상적인 요인에 의한 증가
- 최근 성관계, 전립선 마사지, 격한 운동(자전거 타기 등)을 한 경우에도 PSA 수치가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5. PSA 수치가 높아지는 원인
PSA 수치는 여러 원인에 의해 상승할 수 있으며, 암과 관련된 경우와 비암성(양성) 질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암 관련 원인
- 전립선암(Prostate Cancer)
- PSA는 전립선암 환자의 약 80~90%에서 상승합니다.
- 10ng/mL 이상 지속적인 상승은 전립선암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비암성(양성 질환) 원인
- 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 PSA 수치가 4~10ng/mL 범위에서 증가할 수 있으며, 악성 종양과 감별이 필요합니다.
- 전립선염(Prostatitis)
- 급성 또는 만성 전립선염에서도 PSA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 일상적인 활동(성관계, 자전거 타기, 전립선 마사지 등)
- 검사 전 24~48시간 이내에 성관계나 격한 운동을 하면 일시적으로 PSA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6. PSA 수치가 높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PSA 수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암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1) 정밀 영상 검사
- 전립선 초음파(TRUS) → 전립선 크기 및 이상 여부 확인
- MRI 검사 → 전립선암 여부 및 전이 평가
(2) 추가적인 혈액 검사
- 프리 PSA(Free PSA) 검사 → 전립선암과 양성 질환 감별
- DRE(직장 수지 검사) → 전립선 크기 및 단단한 결절 여부 평가
(3) 조직검사(Biopsy) 및 추적 관찰
- PSA 수치가 10ng/mL 이상이거나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전립선 조직검사(생검)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경미한 상승(4~10ng/mL)인 경우 일정 기간 후 재검사하여 변화를 확인해야 합니다.
7. 결론
PSA는 전립선암,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등에서 상승할 수 있는 대표적인 종양표지자이지만, 단순히 수치가 높다고 해서 암이 확진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PSA 수치가 10ng/mL 이상 지속적으로 상승하거나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라면 전립선암 가능성을 고려하여 전립선 초음파, MRI, 조직검사 등의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종양표지자, #PSA, #전립선암,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염, #남성건강, #건강검진, #암검진, #암예방, #혈액검사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작스러운 어지럼증, 알고 보니 '이석증'? 원인부터 증상, 예방법까지 총정리! (74) | 2025.04.08 |
---|---|
NMN, 레스베라트롤, 메트포르민 | 데이비드 싱클레어 박사가 추천하는 3가지 노화 방지 보충제 (55) | 2025.02.28 |
종양표지자란? ④ CA 125 수치가 높으면 어떤 의미일까? (35) | 2025.02.25 |
종양표지자란? ③ CA 19-9 수치가 높으면 어떤 의미일까? (33) | 2025.02.24 |
종양표지자란? ② CEA 수치가 높으면 어떤 의미일까? (33) | 2025.02.24 |